사회실천연구소

3장글래스고우[1] 본문

실천지 (2007년)/2007년 6월호

3장글래스고우[1]

사회실천연구소 2014. 12. 15. 13:41

3. 글래스고우, 바탕을 쌓아놓기

 

 

영국 노동운동의 특징은 러시아의 노동운동과 견주어 볼 때 서로 대척점에 있다는 점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다. 러시아에는 제도화된 노동조합은 없었지만 정치적으로는 가장 앞선 새로운 산업노동계급이 있었다. 반면 영국에는 가장 오래된 노동계급이 있었기 때문에 노동조합 조직률은 높지만 정치적 태도는 가장 보수적이었다. 19세기 내내 시장경쟁에 거의 부딪치지 않았기 때문에 영국 자본가들은 조직된 노동자들의 저항을 돈으로 살 수 있었다. 1850년대 이래로 지속되었던 완전고용과 생활수준의 상승은 차티즘 같은 정치적 운동의 힘을 약화시켰다. 노동계급의 몇몇 집단들은 여러 차례 양보들을 얻어 낼 수 있는 강력한 경제적 투쟁조직을 유지하기는 했지만 이들은 투쟁을 전면화하거나 체제전복의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않았다. 비록 영국 노동운동의 역사는 새로운 노동조합 총연맹(General Union)’을 설립시켰던 1889년의 파업과 1910부터 1915년까지의 노동 불안(Labor Unrest)’의 경우처럼 단기간 내의 광범위한 전투성을 보여주기도 했었지만, 독자적인 노동계급의 정치는 운동의 진보에 불필요하다는 주장이 전쟁 이전까지 공공연하게 제기되었다.

이러한 맥락을 볼 때, 영국은 소비에트의 본고장인 러시아와는 너무도 차이가 난다. 그래서 혁명 투쟁의 방도에서 아무런 교훈도 얻지 못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틀림없이 1915년부터 1920년 사이에 영국은 러시아나 독일보다는 그리 열광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 전투적 노동자들이 열악한 수준에서부터 출발해야 하며 혁명 전략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개량주의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들을 해결해야 했다는 점은 오늘날 어려운 조건들에 직면해 있는 사회주의자들에게 영국의 경험은 매우 값진 것으로 될 수 있다. 글래스고우는 특히 노동자 평의회 조직이 자리 잡히는데 최초의 시험적인(tentative) 일보를 내딛었던 장소였다.

 

 

전쟁 이전의 글래스고우

 

서유럽 노동자 평의회의 핵심 거점인 세 지역, 글래스고우, 베를린, 튜린 모두가 1차 세계대전에 이르기까지 몇 년 동안 급속한 사회적, 산업적 변화를 경험했었다.

글래스고우의 인구는 1860년부터 1914년까지 두 배로 늘어났다. 급속한 팽창은 20,000명의 하이랜더라는 스코틀랜드 출신 집단들을 만들어냈고 많은 아일랜드 사람들이 도시의 복합적인 문화 속에 편입되도록 했다. 또한 이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빈민 거주 구역의 촘촘한일인용(single end)’널빤지(flat)에서 살아야만 하는 심각한 인구과잉을 유발했다. 그 결과 글래스고는 영국의 도시들 중에서 가장 높은 사망률 및 유아 사망률을 보였다.

산업이 폭발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전력소비량은 1900년부터 1913년 사이에 15배가 증가했다. 공장들 및 조선소들은 즉시 글래스고우 도시의 한계를 넘어서 클라이드 만(Clyde basin)을 따라 서부의 댈뮈르(Dalmuir)로부터 동부의 쉐틀스톤(Shettlestone)에까지 영역을 확대했다. 금속산업이 핵심 산업이었다. 금속산업 분야에는 전체 노동자들의 1/3이 고용되어 있었는데, 이들의 주요 활동은 선박건조와 선박공학(marine engineering)이었고 이는 전시 군수물자 생산의 엄청난 확대로 인한 것이었다. 급격한 사회적 변화는 노동자들의 태도들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산업의 성장은 기억에 남을 만하고 획기적인(novel) 것이었다. 클라이드 사이드(Clydeside) 노동자들에게 산업주의는 신에 의한, 인류의 불가피한 환경이 아니라, 변화하고 있고, 변화가능하며, 사람들에 의해 구성되어 왔듯이 그들의 힘으로도 만들어 낼 수 있는 많은 현상들 중 하나로 보였다.

 

 

이러한 논평은 베를린과 튜린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었다. 전쟁 이전에도 글래스고우의 금속노동자들은 현대적인 기술과 새로운 노무관리를 통해 사회적 생산이 만들어지는 경험을 했었다. 이후 클라이드 노동자 평의회의 지도자들 중 한 사람이 되었던 아더 맥마너스(Arthur McManus)는 이에 대한 좋은 예였다. 전쟁 이전에 그는 10,000 여명의 노동자들을 고용한 싱거 제봉틀 공장(Singer sewing machine factory)에서 바늘가공을 했다.

 

아침마다 테이블 위에는 수백만 개의 바늘들이 쌓여 있었다. 그가 그 바늘 산더미를 줄여나가는 만큼 새로운 바늘 더미들이 쌓였다. 하루 내내 그것은 결코 줄어들지 않았다. 어느 날 아침 그는 공장에 들어갔을 때 테이블 위가 텅 비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상황 파악을 할 수가 없었다. 그는 신이 나서 모든 사람들에게 테이블 위에 바늘이 하나도 없다고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이 상황은 그에게 갑자기 자신의 삶을 이처럼 보내야 것이 얼마나 바보 같은 짓인가 하는 생각이 들도록 만들었다. 그는 자켓을 벗지도 않고 발길을 돌려 언덕을 넘어 벨로쉬(Balloch)로 산보를 하기 위해 밖으로 나갔다.

 

모든 사람들이 맥마너스만큼 예민하게 반응했던 것은 아니지만 머리를 사용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생산하는 방법들과 이로 인한 현대 자본주의의 소외현상은 확실히 노동자들을 투쟁적으로 만들었던 요인 중에 하나였다.

전쟁 동안 노동자 평의회 운동은 수많은 현대적인 기계화된 공장들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케쓰카트(Cathcart) 웨어(Weir) 공장은 정부가 평의회 조직의 맹아인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의 배후를 이루고 있는 5개 주요한 공장들이라고 지목되었던 공장들 중 하나였다. 웨어 공장에서는 미국에 있는 같은 계열사 공장으로부터 도입된 공세적 경영기법에 맞서 장기간의 투쟁을 벌였다. 시간 및 동작 연구(time and motion study)와 같은 경영기법은 훗날 반전 투쟁의 지도자가 되었던 존 맥클래인으로 하여금 1914년 여름에 다음의 글을 쓰게 했다. “어떠한 영국 회사들보다도 이 독점회사만큼이나 미국화된 회사는 없었는데 심지어 이 독점회사는 상선뿐만 아니라 함선까지도 생산하여 공급했었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시도 때도 없이 이들은 재촉했고, 재촉했고, 재촉했다.”

회사의과학적 관리 기법에 대해 투쟁을 벌이기 위해서 노동자들은 강력한 현장조직을 만들었다. 웨어 공장의 현장조직 대표위원이었던 해리 맥쉐인(Harry McShane)은 사회화된 생산이 노동자의 집합의식을 형성하는데 얼마나 큰 기여를 했는지를 다음과 같은 진술을 통해 보여줬다.

 

 

웨어 공장은 사람들이 자신들 분야의 자기 자리에서만 일하고 그 외의 분야와 자리에는 신경을 쓸 필요가 없는 현대화된 공장이었다. …… 작업들은 터무니없을 정도로 단순해서 어느 누구도 그것을 할 수 있을 정도였다. …… 그와 같이 공장을 조직한다는 것은 노동조합을 조직하는 것이 더욱 수월하다는 것을 의미했다.

 

 

파크해드 제련소(Parkhead Forge)는 평의회 운동의 또 다른 근거지였다. 이 거대한 공장은 새롭게 설립되어 전기용광로(electric furnaces), 크래인, 자동 컨베이어와 같은 최신기계들을 갖추고 있었다. 1914년까지 이 공장은 강력한 현장조직 대표위원회(shop stewards' committee)를 가지고 있어 소유주인 윌리엄 버드모어(William Beardmore)씨와 매일 성과급 관련사항을 협상하였다. 웨어 공장과 파크해드 제련소는 이 정도의 현장 조직이 존재했다는 점에서 영국에서도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실제로 클라이드에서의 금속노동자들은 노동조합 조직 수준이 높았다. 5명 중 4명의 노동자들이 나름의 노조 조직에 속해 있었는데 그중 가장 강력했던 것은 기술자연합회(Amalgamated Society of Engineers)였다. 1892년 기술자연합회(ASE)에서는 현장위원(shop stwards)들을 임명해 주었고 곧 노조와 독자적인 지역 현장위원들 사이에 네트워크를 출현하게 했다. 1896년경부터 자본가들은 현장위원들의 감시위원회(Vigilance Commitee)'에 대해 혹독하게 불평해댔다.

이러한 현장 노동자간의 단결력은 글래스고우를 가장 전투적인 금속산업 지역으로 만들었던 일련의 대결을 통해 공고해졌다. 다양한 공장들에서 온 현장조직 대표자 위원회는 1897년부터 1898년까지의 공장 폐쇄에 대항해 싸웠다. 그리고 이 위원회는 5년 후에는 다시금 노동조합 지도부의 명령을 거부하면서 임금 삭감에 투쟁하였다. 1914년에 이르러 글래스고우에서는 강력하고 독자적인 현장조직 투사들 사이의 네트워크가 만들어졌다. 이들은 전쟁이 시작되기 , 임금과 노동조건의 기본적인 개선들을 위한 투쟁 속에서 현장조직 지도자로서의 가치를 스스로 증명했다. 이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축적된 자신감과 기초적인 조직수준은 현장노동자들 사이에 네트워크가 쇼비니즘과 (전쟁수행을 위한)‘사회적 평화의 흐름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게 했을 뿐만 아니라 국가의 정책기조(trend)를 직접적으로 거부하기 위하여 산업적 행동(파업 등)을 할 수 있도록 해주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혁명적 정치의 전통은 현장조직 투사들의 네트워크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노동자 평의회의 성장을 위해서도 중요했다. 영국에서는 전반적으로 사회주의 운동이 매우 취약했다. 전쟁이 일어나던 전날 노동당(노동당의 정치적 성향은 자유주의보다 약간 왼쪽에 있었다)은 단지 16십만 명의 구성원들만을 가지고 있었고 의회 원내로 진출한 조직은 부재했다. 독립노동당(Independent Labour Party)(ILP)에서는 혼란스럽고 이상주의적인 사회주의를 지향했으며 단지 30,000명의 추종자들만을 가지고 있었다. 맑스주의는 더욱 지지를 받지 못했다.

혁명 운동은 위의 이유들로 인하여 성장하기 어려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치 투쟁에 의지하지 않고도 임금 수준의 향상 같은 경제적 개선들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은 경제와 정치라는 두 개념들이 많은 노동자들의 마음속에 분리된 실체들로서 남아있다는 것을 뜻했다. 가장 잘 조직된 노동자 집단이며 경제적 양보들을 얻어내기 위해 강력한 노동조합 운동을 수행했던 집단들은노동귀족의 성격을 띠게 되어 자신들의 투쟁을 전 노동계급으로 전면화해야 할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못했다. 20세기 들어 영국의 노동자들은 강력한 집단적 성격의 조직을 가지고 있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어떠한 독립적인 정치적 사상과 세력을 가지지 못했다.

주요한 맑스주의적 흐름은 영국 사회당(BSP)이었는데, 이 당은 충격적이게도 경제와 정치의 분리라는 생각에 일정정도 종속되어 있었다. 영국사회당은 이러한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해 계급투쟁을 통해 극복하지는 않았으며 스스로를 정치 분야에만 한정시키는 태도를 취했다. 영국사회당은 전투적인 파업들의 홍수가 전국을 휩쓸었던 '노동 불안(Labour Unrest)' 기간이던 1911년에 설립되었다. 일부 사람들은 새로운 당이 산업적인 대중투쟁 속에서 활동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영국사회당의 지배적인 의견은 선동(agitation)자신들과는 무관한 영역에 대한 무례한 간섭으로 될 것이라고 보았다.

영국사회당은 정치권력의 쟁취이 당연하지만 자신의 당 일상적 업무 이외의 것들에 참견해서 발을 더럽히려고 하지 않았다. 영국사회당은 어쩌면 궁극적인 성과를 이끌어낼 수도 있을 직접행동을 거부하면서 사회주의 정치를 산업적 투쟁으로부터 분리시켰다. 그 결과 영국사회당은 이후 전투적 행동에 의해 급진화된 수 천 명의 노동자들의 관심을 끌 수단이 부재하였다. 매주 일요일마다 실시되는 연단(soap boxes)으로 설명되는 영국사회당의 사회주의는 노동자들의 삶과 조응하지 못한 채 남게 되었다. 영국사회당은 10,000명의 당원을 가진 단연 가장 큰 맑스주의적조직이었다.

하지만 영국사회당만이 정치투쟁과 경제투쟁 사이의 넘을 수 없는 분리를 보여준 것은 아니었다. 노동 불안(Labor Unrest) 시기에 투쟁의 선봉에 섰던 생디칼리스트들은 영국사회당과는 반대 측면에 강조점을 두었다. 영국사회당이 오로지 정치영역과 사회주의의 궁극적 목표에 대해 강조했던 반면 생디칼리스트들은 전투적 노동조합주의를 통한 직접행동을 호소했던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 사회주의의 성취는 노동조합만의 투쟁을 통해 가능한 것이었다. 그들의 목표는모든 노동자들을 하나의 전국적 그리고 국제적 차원의 노동조합에 통합시키는 것, 노동자들 스스로에 의해 모든 산업들을 장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생디칼리스트들에게 있어 이론은 이것뿐이었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이론보다 실천이 더 중요했다. 결국 노동조합 투쟁이 한계를 지닌다는 점을 볼 때 그들의 활동은 경제적 수준의 투쟁 한계를 넘어서지 않았고 또한 좀처럼 체제 전체에 대한 도전을 감행하지 않았다.

다른 무엇보다도 영국의 좌파세력은 혁명적 실천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주의 이론과 노동계급의 실천을 종합하기 위한 조직과 사상이 결여되어 있었다. 겨우 수백 명의 당원만을 가지고 있던 군소정당인 사회주의 노동당(Socialist Labour Party)만이 정치와 경제 간의 분리를 연결시키고자 노력했다. 사회주의 노동당은노동계급의 두 가지 행동들, 즉 정치행동과 산업행동은샴쌍둥이"를 이루며 그 각각은 서로에게 필수적인 것으로 봤다. 하지만 그들은 노동자 평의회의 필요성에 대한 확신에까지는 이르지는 못했다. 미국의 사회주의자인 다이엘 드 레온(Daniel de Leon)으로부터 물려받은 그들의 사상은 노동자 정당과 생디칼리슴적 유형의 혁명적 노동조합의 병행적 성장이라는 생각이었다. 비록 드 레온의 접근법은 분파주의자의 막다른 길(dead-end)로 판명되었지만 사회주의 노동당이 보여준 정치투쟁과 경제투쟁간의 상호연관에 대한 생각은 그 성원들의 머릿속에 영국 노동자 평의회 운동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줬다.

영국 좌파들의 유약함에도 글래스고우는 전쟁 이전시기에 사회주의 운동(agitation)의 중심부였다. 이 지역의 급진주의는 다양한 흐름들, 즉 스코틀랜드의 독립(highland clearance), 아일랜드의 해방 투쟁 그리고 항구의 혁명적인 러시아 수병들과의 접촉에 의해 만들어졌다. 1907년부터 1908년까지의 금속가공업종 및 조선업종에서의 갑작스러운 불경기는 이 지역의 실업률을 6%에서 28.5%로 급격하게 상승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자본주의의 무정부성(불황과 공황)에 직면해서 노동조합주의와 의회주의의 절차 중시 태도는 너무 부적합한 것으로 보였다. 더블린 운송 산업의 파업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클라이드 사이드 지역 노동자들도 투쟁하기 시작했으며 전쟁이 터지기 전에 노동 소요(Labor Unrest) 시기가 일어났다.

이 지역에서는 독립노동당(ILP)3,000명의 당원을, 영국사회주의당이 약 500명의 당원을 가지고 있었다. 심지어 미약한 지지만을 가졌던 사회주의 노동당도 100명의 지지자를 확보하고 있었다. 영국의 좌파는 일반적으로 생디칼리스트들(경제 투쟁을 노동해방의 길로 여기는 사람들)과 분파적 사회주의자들(무계급 사회라는 당의 선전만을 신뢰하고 있던 사람들)로 분리되어 있었던 반면 글래스고우에서 노동운동은 경제투쟁과 정치투쟁이라는 허구적 이분법을 어느 정도는 극복하고 있었다. 클라이드 사이드의 많은 혁명가들은 당 활동과 현장 투쟁(militancy) 모두에 참여하고 있었다. 정치 생활과 현장투쟁 생활은 공장 입구, 노상 논쟁 집단(canteen debating group)과 노동조합 회의(Trades Council)에서의 논쟁 속에서 서로 마주쳤다. 게다가 그곳에는 존 맥클래인(John Maclean)이 운영하는 교육기관이 있어 몇 백 명의 지도적인 현장투사들이 참여하고 있었다.

윌리 갤래셔(Willie Gallacher)라는 선진 현장활동가가 정치적으로 성숙해간 과정은 어떻게 정치적 활동과 현장투쟁 활동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었다. 그는 로버트 블라쉬포드(Robert Blatchford)클라리언(Clarion) 신문을 읽음으로써 사회주의자가 되었다. 그 신문은 노동조합을 충분히 사회주의적이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노동조합회의(Trades Council) 대의원을 만났는데, 이 과정에서 자신이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다는 모욕을 받고 바로 자신의 실수라 수긍한 후 놋쇠주조연합(Brassfounders' Association)이라는 노조에 가입하였다. 그 후 갤래셔는 앨빈 자동차 회사(Albion Motors)에서 핵심적인 현장위원이 되었으며정기적으로 점심시간에 토론하는 노동자들에게 지속적으로 혁명적 문헌들을 제공해주는 집단을 만들었다. 클라이드 벨리(Clyde Valley)에 있는 금속 공장들을 가로질러 유사한 투쟁(agitation)이 발생하자, 사회주의 이론과 공장 생활을 구분하고 있는 벽은 무너뜨려지기 시작했고 노동자 평의회의 발전에 비옥한 토양이 형성되어 갔다.

글래스고우는 다른 나머지 지역들에서 좌파들을 황폐화시켰던 분파주의로부터 자유롭지는 않았었지만, 다양한 노동운동 집단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들을 누그러뜨리거나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같이 모여 연대했다. 해마다 열리는 노동절 행사들에는 이러한 연대 정신이 깊이 깃들어 있었다.

 

한꺼번에 14개 내지 15개의 회의들이 개최되었고 모든 종류의 사회주의자들의 깃발이 휘날렸다. 보기를 들어 노동자들의 유일한 희망인 사회주의등등의 구호가 적힌 깃발들이. 사회민주주의연맹(Social Democratic Federation)[곧 영국사회주의당으로 개명했던]은 항상 맑스에게서 인용한 슬로건을 내걸었다. 사회주의노동당(SLP)도 거기에 있었고 독립노동당과 클라이언 스카우트(Clarion Scout)도 있었다. 모든 사람들이 매우 잘 연대하여 일했던 것이다. 사회주의자들의 주일학교(Sunday school)에 있는 어린이들은 조지 광장(George Square)으로부터 왔다. …… 심지어 아나키스트들까지도 나이든 윌리 맥길(Willie Mcgill)에 의해 지도되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

 

 

클라이드 노동자위원회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Clyde Worker's Committee)은 중요한 비공식 파업을 지도함으로서 시작되었다. 평상시에 파업 위원회는 그 활동범위가 제한적이었으며 일단 하나의 투쟁이 종결되면 사라져 버렸던데 반해 당시의 계속되는 전쟁 위기는 현장 노동자 대부분으로 하여금 불만하게 하였다. 그 과정 속에서 전투적 현장 활동가들 간의 느슨한 네트워크는 수많은 공장들 간의 강고한 연계를 형성함으로써 상설적인 형태를 확보해야만 했다. 1905년 러시아 혁명처럼 노동자 평의회는 초기에 주로 이른바 상설적인 파업 위원회의 모습을 띠었다.

작업현장에서 벌어진 투쟁은 1915년에서 1919년까지 절정에 이르렀으며 이 투쟁은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의 근간을 이루고 있던 군수산업 현장위원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 시기에 전쟁과 생산 활동(industrial life)은 분리될 수 없었으며 노동자 위원회는 당시의 특수한 환경들에 대하여 현장 노동자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했던 결과이었다. 노동조합주의자들(trade unionists)의 경제적 요구들은 불가피하게 자본가들의 저항을 받았다. 자본가들은 전쟁에 전력투구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들이 일정 정도 희생을 감수해야만 한다는 구실을 내세웠던 것이다. 최소한의 요구들만을 제기했던 노동자들조차도 당면했던 이러한 문제들은 19152월 군수산업 노동자들과 자본가간의 최초대결(confrontation)에 의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간 3년간의 임금협약이 만료되었을 때 기술자연합협회(ASE) 글래스고우 지구 위원회는 시간당 2펜스의 임금 인상을 요구했다. 이러한 요구는 평상시 어떠한 혁명적 함의를 갖지 못하는 것이지만 당시에는 무기 생산에 대한 어떠한 방해도 반역죄의 딱지가 붙여졌다.

128일에 금속노동자들은 시간 외 노동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캐쓰캐트의 웨어 공장에서 미국 출신 노동자들을 영국 노동자들보다 더 많은 임금으로 고용했을 때 영국 노동자들은 총파업을 일으켰다. 처음부터 전쟁과 이 지역 임금투쟁 간의 연관은 분명한 것이었다. 그 주도자였던 갤래셔는 다음과 같이 썼다.

 

 

……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한 노동조합 관료들의 '애국적인태도들로 인해 …… 자본가들은 노동자들의 투쟁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확신했다. …… 캐쓰카트의 금속노동자들은 이러한 상황에 직면해 파업을 선언하는 등 신속한 행동을 통해 모든 배신자들에 맞서서 …… 노동조합은 공장에서의 근로조건들을 결정할 권리가 있다. 금속노동자들은 정부와 자본가들에게 전쟁이 있건 없건 간에 노동조합이 건재하다는 점을 보게 될 것이라고 했다.

 

 

파업기간 동안 현장위원간의 네트워크는중앙 노동거부 위원회(Central Labour withholding Commitee)'라는 이름으로 재출현했다. 그 조직은 26개 회사로부터 온 10,000여명의 비공식적 파업자들을 아우르고 있었다. 강고한 조직과 의사 결정에 대한 현장 노동자의 원활한 참여를 통해 2주간의 동맹파업을 이끌어 냈는데 이 파업은 클라이드에서 지금까지 보아왔던 파업들 중아마도 가장 잘 조직된 파업이었다. 비록 정부는 33일까지 작업장 복귀를 권고했지만 투쟁 지도자들 간의 비공식적인 접촉은 지속되었다. 이제는 조직을 위한 토대가 도시 전체를 관통하게 되었다.

또한 중요한 것은 모든 현장의 전투적 선진노동자들 사이에서는 현장조직을 설립하려는 분위기가 고무되었다는 점이다. 당시까지만 해도 현장조직들은 단지 한 두 개의 강력한 작업장들에서나 존재했었다. 단순한 경제적 요구를 넘어섰던 단 한 번의 파업은 엄청나게 강력해진 현장조직을 노동자평의회로의 첫 번째 단계이자 다음 단계로 가는 길을 닦아주는, 즉 수많은 공장들의 금속 노동자들과 긴밀히 밀착된 현장조직을 강고하게 해줬다.

반면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는 새로운 기구였다. 그것은 군수법령(Munitions Act)을 실행하려던 국가와 직접적인 충돌이 있은 이후에 형성되었다. 즉 노동자 위원회의 기원은 정치적 쟁점으로부터였다.

19158월에 두 명의 조선업종 노동자들이 일을 못한다는 이유로 해고되었고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동정적 행동을 했던 26명의 조선 노동자에게 군수법령(Munitions Act)에 근거하여 벌금형이 가해졌다. 투쟁노동자들의 일부가 벌금납부를 거부하자 감옥형에 처해졌다. 이에 대응해 현장의 전투적 선진노동자로 구성된 비공식적 네트워크는 즉각적인 파업 행동을 통해 위협을 가했고 이를 통해 감옥에 갇혔던 노동자들은 석방되었다. 며칠 후 군수법령을 근거로 웨어 공장의 현장위원들에게 가해졌던 탄압은 위와 유사하게 현장 노동자들의 대응에 의해 철수되었다. 2월의‘2펜스 파업(two pence strike)’을 이끌었던 투쟁조직이 상시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은 명백했고, 이런 이유로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Clyde Workers' Committee)가 탄생하게 되었다.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를 세웠던 현장의 선진노동자들은 두 가지 점을 공유했다. 그들모두가 19152월의 파업을 이끌었으며 1915년부터 1916년까지 노동자 위원회의 근간을 이루었던 회사들의 현장조직 위원이었다. 그리고 그들 모두가 사회주의자였다.' 앨비온 공장의 현장조직 위원이자 영국사회주의당의 당원이었던 윌리 갤래셔(Willie Gallacher)는 그 노동자 위원회의 의장이었다. 독립노동당의 제임스 메셔(James Messer)는 웨어 공장의 현장조직 위원이자 노동자 위원회의 서기관(secretary)이었다. 사무장(treasurer)은 사회주의노동당의 톰 클라크(Tom Clark)였는데 그는 파크해드(Parkhead) 공장 노동자였다. 사회주의노동당 또한 바와 스트라우드(Barr and Stroud)의 위원장이자 그 전에는 사회주의노동당 신문인 사회주의자들(The Socialist)의 편집자였던 조니 뮈르(Johnny Muir)와 그 후임 편집자였던 아더 맥매너스(Arthur McManus)에 의해 대표되었다.

좌파 정치가 현장노동자의 대중적 호응을 받지 못해 서로간에 결합할 수 없었다면 글래스고우의 맹아적인 노동자 평의회 조직은 결코 출범할 수 없었을 것이다. 대다수의 노동자들은 전쟁을 수용했고 이를 위해 노동자들과 자본가들 사이에 사회적 휴전을 할 것도 받아들였다. 단지 제국주의 전쟁으로부터 얻을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믿었던 사회주의자들만이왕과 조국의 이름 속에서 노동자 운동이 질식되는 것을 막아내기 위해 싸우려 했다. 하지만 극소수의 노동자들만이 그들의 의견에 동조했다. 이러한 사회주의적 성향을 가진 현장조직 위원들은 만약 혼자 자신의 생각을 선전만 했다면 어떠한 성과도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파업에서 수천 명을 이끌 수 있었다. 왜냐하면 그들은 먹고 사는 문제에 관한 경제투쟁에서 현장노동자들 사이에 좋은 평판을 얻어왔기 때문이다. 전쟁 이전부터 조직기반을 마련해왔었기 때문에 그들은 노동자들이 비록 전쟁에 찬성할지라도 자신들의 임금과 노동조건들을 방어해야 한다고 설득력 있게 주장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투적 선진 노동자들은 결국 임금투쟁이라는 경제적 쟁점에 있어서 노동자들을 이끌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러는 과정에서 그들은 곧 군수법령(Munitions Act)이라는 정치적 쟁점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공장 조직에서 현장투쟁으로 향해갔던 노동자 평의회 운동은 점차 경제적 투쟁을 통한 이익 보호로부터 자본가 계급의 정치적 공격에 대한 저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191511월에 작성되었던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의 첫 번째 리플렛은 처음으로현장 노동자 조직의 원칙을 다음과 같이 명확하게 표현했다.

 

우리는 노조관료들이 노동자들을 올바로 대변하는 한에서만 그들을 지지할 것이다. 하지만 그들이 노동자들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독립적으로 행동할 것이다. 우리는 모든 작업장으로부터 온 대표들로 구성되어 진부한 규칙과 법의 구애를 받지 않고 노동자들의 참된 느낌들을 대변하고자 한다. 우리는 사안에 따라 그리고 현장노동자들의 욕망에 따라 즉각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전투적인 선진 활동가들은 결국 노동조합 운동 내에 있으면서도 동시에 그 외부에서 자유롭게 행동했다. 이는 효과적인 지도력을 위한 출발점이었다. 만약 현장조직 위원들이 전체적으로 노동조합 기구에 통합된다면 그들은 어떠한 행동도 취할 수 없었을 것이다. 반면 그들이 노동조합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었다면 그들은 작업현장에 대한 지도력을 발휘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발견은 노동조합에 대해 분파적으로 거부하거나 그것을 무턱대고 받아들였던 과거의 실천에 비해서는 상당히 진보한 것이었다.

리플렛은 이미 광부들, 가스노동자, 기타 참여자 등의 지원을 받고 있다는 말을 덧붙이면서 이 조직운동에모든 노동조합의 선진적 활동가들'이 참여할 것을 요청했다. 비록 지지의 광업위한 기반은 실제로 드러난 것보다는 군수산업 현장조직 위원들의 열망을 나타내 주었지만 이들은 금속산업만의 협소한 토대를 훨씬 넘어 계급 조직, 즉 노동자 평의회를 만들려고 하였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전투적인 선진 활동가들은 노동계급에게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을 제공해야 했다. 분명히 이러한 조직화를 위한 호소는 금속산업 노동자들의 이익들을 방어하는 것 이상으로 훨씬 광범위한 것을 다루어야 했다. 모든 노동자들에게 공통적으로 다가온 위협은 제국주의 전쟁이었다. 하지만 다음에서 보게 되겠지만 이 위원회는 전쟁에 대한 쟁점을 극복하는데 상당한 어려움들을 겪었다.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는 매우 단순한 조직이었다. 노동자 위원회에서는 다양한 공장들로부터 약 250명에서 300명 가량 지도적인 현장조직 위원들이 일주일에 한번 씩 만났다. 상근하는 사람은 전혀 없었는데 그 이유는 위원회의 힘이 현장과는 괴리되어 있는 몇몇 수뇌부(Head Office)가 아니라 현장 노동자들로부터 직접적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조직의 성과는 출판물의 양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들을 동원하는 능력에 의해 평가될 수 있었다. 이러한 동원능력은 현장조직 위원들이 해당 공장들에서 확보한 입지로부터 나왔다. 군수산업의 현장조직 위원들은 현장의 동료노동자들과 똑 같은 노동조건들 속에서 일하고 투쟁 속에서 지도력을 검증받았던 사람들이었다.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라는 틀에서 전투적 선진 활동가들이 함께 한다는 것은 결국 금속산업 현장 노동자를 아우르며 클라이드 벨리를 직접적으로 관통하고 있는 중앙집중화된 조직을 만들 수 있도록 했다. 노동자 위원회는 행동을 위해 고안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전투적 선진활동가들 사이에 가장 자유로운 토론이 가능했으며 이를 통해 대의기구로서의 권위도 포함하고 있었다. 아래의 인터뷰에서 어떤 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질문 : ‘당신은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의 성원입니까?’

답변 : ‘당신이 성원이라는 것을 무엇이라고 부르느냐에 따라 대답은 달라질 수 있겠지요.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는 실제로 공식화된 기구(constitution)를 가지지 않은 다양한 성원들 간의 모임입니다. 그것은 다른 무엇보다도 분노한 노동조합주의자들(Trade unionists)의 모임으로서 클라이드에서 존재하고 있던 문제 때문에 출현한 것입니다. [그것은] 많은 작업장들의 다양한 활동가들이 우리의 모든 불만들을 논하기 위해 모이는 회합장입니다.’

질문 : ‘당신은 거기에 참여하는 것이 노동조합 관료들에게 의지하는 것보다 좋다고 보십니까?’

답변 : ‘물론입니다. 우리 노동조합 관료들은 속수무책으로 …… 군수법령에 묶여있습니다.’

질문 : ‘당신은 혼자만이라도 스스로를 대변할 수 있나요?’

답변 : ‘…… 당신의 작업장에서 당신을 대표로 보내야만 일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수의 의견이 대변될 수 있는 것처럼 당신은 작업장의 소수 의견을 대변할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 다수가 절대적이라고 할지라도 말입니다.’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는 작업 현장에서의 투쟁을 통해 만들어 졌다. 하지만 당시에 전쟁과 관련된 폭넓은 문제들이 중심적인 사안이었고 글래스고우는 이런 문제들에 대한 해법에 있어서도 근본적 기여를 했다.

전쟁이 발발했을 때 수가 미미했던 대부분의 영국 반전 사회주의자들은 민족주의적 히스테리와 심리적, 물리적 위협으로 인해 침묵하였었다. 클라이드는 예외였다. 전쟁 직후 첫 번째 일요일에 윌리 갤래셔는 존 맥클래인과 함께 연단을 마련했다. 둘 다 영국사회주의당의 당원으로서 그들은 제국주의에 대한 반대를 강력하게 열변했다. 노동자 다수는 의심할 바 없이 그들의 주장들을 곧 바로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보냈다. 하지만 거기에는 사회주의 사상들에 대한 대중적인 관대함이 존재하고 있어 비록 그 규모는 작지만 강렬한 섬광을 내뿜으면서 노동자 국제주의를 확산시킬 가능성은 충분히 있었다. 물론 이를 성취하려면 상당한 용기가 요구되었다!

 

 

끔찍한 소식들과 널리 유포되어 있던 공포 속에서 자생적 애국주의가 득세했을 때 …… 독립노동당은 길거리로부터 후퇴하였고 또한 메트로폴 극장에서 열리던 그들의 일요일 밤 회합을 중지하고 당 지역 공회당들로 피신했으며 거기에서 그들은 누구도 전향하지 않기로 합의했던 상황에서 존 맥클래인 혼자만은 자신의 작업을 대중들 속에서 지속하기로 결정했다.

 

 

즉시 맥클래인은 영국 사회주의당 지부들을 집결시키고 자신의 입장을 표명했다. 이는 속수무책으로 전쟁 속으로 미끌어져 들어가던 당 전체의 입장에 전면적으로 대립하는 것이었다. 사회주의노동당 역시 약간의 당원들을 제외하고는 반전 입장을 취했다. 하지만 맥클래인은 비난 수준에 머물지 않았다. 그에게서 보인 독특한 주장은우리가 수고를 할 가치가 있는 유일한 전쟁은 단지 계급 전쟁뿐이다라는 점이었다. 선언적인 비난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사회주의자들은 노동자들이전 세계의 착취자들에 맞설 수 있게 해주는 모든 일들을 해야만 한다는 것이었다.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가 공장 수준의 문제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방어를 하는 동안, 맥클레인의 노동자 국제주의를 위한 입장은 공장 수준의 문제들을 만들어냈던 자본주의 체제에 대해 공세적인 도전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출발점이었다. 그들 혼자서, 즉 맥클래인이든 현장조직 위원들이든 간에 어느 누구도 이 위기에 대한 명쾌한 해결책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이에 대한 유일한 효과적 해법은 전쟁이라는 일반적인 위기에 대응하여 노동현장의 집합적인 힘을 이용하는 것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노동자 위원회가 한편으로는 조직적 힘과 다른 한편으로는 이론적 명확성이 통합되는 전략을 전개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거기에는 엄청난 난관들이 존재했다. 맥클래인의 생각들은 어떠한 공고한 조직에 의해서도 지지받지 못하고 있었고 그로 인해 현장 노동자들에게 미미한 영향력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었다. 월간으로 발간되는 선전선동 신문인 The Vanguard(전위)가 제기했던 세 가지 쟁점들 그리고 단지 한줌도 안되는 지역 지지자들을 제외하고는 맥클래인은 제국주의에 맞서 싸울 어떠한 조직(공장들에 뿌리를 두고 있는 당과 같은 조직들)도 가지지 못했다. 그는 결국 이러한 쟁점을 부각시키기 위해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에 의존했다. 하지만 노동자 위원회는 혁명정당이 아니었다. 그 조직의 지도자들은 사회주의자들이었지만 그들은 현장노동자들의 대표들로서 모였기 때문에 이에 내재된 역할의 한계점들을 생각해야만 했다. 그들의 실천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서도 맥클래인은 그들에게 정치적인 요구를 했다. 그래서 두 측면들 사이에는 긴장들이 발생했다.

1915년 후반에 맥클래인은 전투적 현장조직 위원들이 반전을 투쟁의 중심적 강령(plank)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에 대해 그들은 반전투쟁의 전략을 공개적으로 선포하는 것이 오히려 현장노동자에서의 지지 기반을 무너뜨리게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갤리셔는 이러한 우려를 다음과 같은 간결한 말로 표현했다.‘클라이드 노동자위원회는 통일(unity)을 상징한다.’ 비록 혁명 사상들과 현장조직간의 공존은 글래스고우 노동운동에 막대한 잠재력을 제공했을지라도 그것들이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장애물들을 넘어야 했다. 이는 다음의 노동물타기 정책(dilution)이라는 쟁점을 통해 드러났다.

 

 

노동자 물타기 정책(Dilution) 계급 전략에 대한 탐색

 

노동자 물타기(Dilution)란 숙련노동자들 대신에 비숙련 및 반숙련 노동자들을 우선적으로 고용하는 정부정책이었다. 단체교섭에서의 강력한 영향력을 토대로 하여 금속 노동자들은 노동자 물타기 정책에 대해 두 가지 측면에서 싸울 수 있었다. 하나는 숙련공들의 엘리트적 특권을 위협하는 측면에서 투쟁했고 다른 하나는 어렵게 획득한 노동조합주의자들의 모든 권리들을 철회하려는 전쟁에 대해서 투쟁했다. 191511월부터 19163월까지 중요했던 몇 달 동안 글라스고우의 전투적 선진 활동가들은 숙련공 엘리트주의에 대해 투쟁하며 노동계급의 폭넓은 이해들을 대변하는 현장조직의 힘을 키우기 위해 노력했다.

정부의 노동자 물타기 정책이 처음으로 논의되었을 때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 의 최초 대응은 다음과 같았다.

 

 

우리는 생산량 증대라는 당신의 소망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하지만 우리는 일일이 열거할 필요도 없지만 금속산업에 일군의 노동자들이 유입되어 우리의 노동을 실제로 하는 것보다 더욱 값싸게 만들게 될까 우려된다. 만약 사용자들이 우리들로부터 30실링을 주고 얻는 것과 동일한 만큼을 새로운 노동자들로부터 10실링을 주고 얻어낼 수 있게 된다면 아마도 오로지 우리의 힘만이 우리의 임금 축소를 막아낼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인식에 이르렀다.

 

 

군수품 생산량 증가에 대한공감을 보인 것은 커크우드(Kirkwood)와 뮈르(Muir)를 예외로 하고 전쟁에 반대했던 지도적인 현장조직 위원들의 기존입장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위의 진술은 그들의 공적 발언과 반전에 대한 개인적인 신념 사이의 첨예한 분열을 보여준다.

이러한 공적 입장과 사적 입장간의 차이는 전쟁 이전 투쟁방식들의 유산이었다. 심지어 가장 좌익적 전통들을 가지고 있던 글래스고우에서도 갤래셔 같은 사회주의자들은 정치 연단에서는 전쟁반대를 연설할 수 있지만 산업적 쟁점들은 다른 차원이며 전쟁과는 분리시켜 다루어져야 한다고 느꼈다.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를 이끌던 성원들은 두 가지 모양을 취하곤 했는데, 그 하나는 사회주의 정당 활동들을 위한 입장이었고 다른 하나는 현장조직 위원으로서 전쟁에 찬성하는 수많은 현장노동자들을 대표해야할 입장이었다.

그렇지만 전시의 위기라는 상황은 이들로 하여금 스스로 사고간의 갈등에 직면하도록 만들었다.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는 노동조합 관료들이 전쟁의 열기에 압도되어 노동자들의 투쟁을 포기했었기 때문에 존재해나갈 수가 있었다. 싫든 좋든 클라이드 현장조직 위원들은 전시 국가자본주의에 의해 펼쳐진, 지도자 없는 노동계급 속에서 활동했다. 이러한 암중모색의 공간 속에서 전진해나가기 위해서는, 현장조직 위원들은 2펜스 파업을 거치며 이루어진 노동대중의 통일을 유지시키면서 자본주의적 전쟁이라는 주요한 쟁점에 대해 투쟁할 필요가 있었다.

1915년부터 1916년 겨울 동안 노동자 물타기 정책에 대해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가 보인 태도는 이러한 일을 수행하려는 시도이었다. 현장조직 위원들은 운동초기에 군수 공장들에서 운동의 효과적인 토대를 마련해야 했고 숙련공 엘리트주의를 제거하여 계급 전체의 입장으로 이끌려고 노력했다. 조니 뮈르(Johnny Muir)에게는 정책기조를 잡는 역할이 부여되었다. 그 정책 기조의 가장 중요한 구절에 의하면, 노동자 물타기 정책은 만약 정부가 일정한 요구들에 응하면 용인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모든 산업들 그리고 국가 자원들은 정부가 접수해야 한다. 이는 정부가 단순히 그것들을 통제해야 한다는 말이 아니라 그것들을 전적으로 접수해야 하고 조직된 노동자들이 직접적으로 그리고 동등하게 모든 산업의 관리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국유화(nationalization) 및 공동 통제의 요구는 역사가들을 당혹스럽게 한다. 제임스 힌턴(James Hinton)은 이는놀랄만한 일이며, 전반적인 방향 상실의 증거라고 이야기한다. 심지어 전시 동안 영국 현장조직 위원들의 지도자였던 J T 머피(J T Murphy)마저도 그것을말뿐인 선전이거나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의 영향력에 대한 완전한 과대평가로 봤다. 하지만 이는 뮈르의 진술이 발표되기에 앞서 몇 주 전에 있었던 맥클래인의 제안들을 볼 때만이 이해될 수 있다.

정부의 노동자 물타기(dilution) 계획들에 대한 맥클래인의 대답은 그의 신문인 The Vanguard에 게재되었었다.

 

 

정부가로 하여금 모든 군수공장들을 접수하게 하자. 자본가들에게는 한 푼도 나눠주지 말며 노동자들의 임금은 두 배로 올리게 하자. 노동시간을 8시간으로 줄일 것이며 생산설비(establishment)를 노동자들 스스로가 통제하도록 하자. 우리는 다음과 같이 보증한다. 노동자가 군수품 산출량을 세 배로 늘릴 것이며 이를 통해 전쟁 찬성자들이 제안한 것을 이룰 것이다. 이는 단지 시시한 즉각적인 제안들인데 우리는 기꺼이 다음 호에 더욱 향상된 제안들을 내놓을 것이다.

 

 

이러한 요구들은 다른 글이 보여주고 있듯이 전쟁 배후에 깔려있는 자본가들의 목표들을 폭로하려는 것이었다.

 

 

만약 주인들이 진정 승리하고 싶다면 우리는 그들의 땅과 자본을 민중들에게 넘기고 노동자들이 전쟁 수행에 필수적인 산업들까지를 포함하여 모든 산업들을 조직하고 생산물들을 통제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그러면 우리는 전선에서 모든 일이 잘될 것이라고 맹세할 수 있다. …… 우리는 자본가들은 사회주의를 채택하기보다는 차라리 전쟁에서 패배하는 길을 택할 것이라는 것을 잘 안다.

 

 

맥클래인은 정부에게 전쟁의 계급적 토대를 인정하라고 도전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노동자들이 애국주의에 집착하는 것을 바로 잡기를 바랬다.

이 글이 나온 몇 주 후에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의 지도자들은 그 내용을 조직의 주요 이념들로 채택했다. 191618일에 갤래셔는 위원회의 신문인, The Worker에서 자본가들에게 다음과 같이 요구했다.

 

 

산업노동자를 쮜어 짜는 것(stranglehold)을 포기하라. [로이드] 조지(Lloyd George)씨는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의 선언에 대한 대답으로그것은 혁명이며.’‘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왜 안 되는가? 간단히 말해 고용자들이 노동자들에 대한 그들의 권력을 포기하기보다는 차라리 전쟁에서 패배하는 것을 선택할 것이고 …… 그것은 우리 노동자들이 그들에게서 권력을 탈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일주일 후 뮈르의 노동자 물타기(dilution)에 대한 대응 전략들이 위원회의 전폭적인 동의를 얻어 통과되었다. 공동 통제라는 조건으로 국영화를 요구했던 그의 기획은 맥클래인의 것보다는 덜 과감한 것이었다. 하지만 두 제안들 모두 노동자 물타기(dilution)라는 현장의 쟁점과 전쟁이라는 전체적인 쟁점간의 연계를 추구하려는 것이었다. 그들이 제안했던 전략들은 정치투쟁과 경제투쟁의 연계를 추구하는 정책을 제공하려는 것이었다. 노동자 평의회의 조직적 토대는 구축되었다. 이제는 그것에 방향감각을 부여할 때였다.

국가가 국영화와 노동자 통제 요구를 진지하게 수용할 것이라거나 또는 국가의 이에 대한 거부가 수많은 노동자들로 하여금 제국주의 전쟁의 본질을 간파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마도 순진한 생각일 것이다. 맥클래인은 단지 소수의 추종자들과 발행부수가 겨우 3,000부밖에 안 되는 신문만을 가지고 있었다.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 대표자들은 여러 공장들에서 현장 기반으로 가지고 있었고 발행부수 15,000부의 신문을 가지고 있었다. 그 어느 쪽도 자신들의 요구사항들을 전국적으로 알릴 수 없었다는 것은 명백했다. 그럼에도 노동자 물타기 정책에 대한 맞대응 제안들은 70년 전 차티즘 이후 영국 사회주의 운동에서 분리되어 있던 정치와 경제 사이의 구분에서 탈피하여 산업수준에서의 대중운동을 혁명적 방향으로 이끌었던 최초의 시도였다.

맥클래인의 전략도,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의 전략도 압도적인 흐름에 맞서 노동자 물타기 정책에 대한 반대를 성공시킬 공산이 없었다. 게다가 머지않아 이 둘 사이의 긴장이 표면화되었다. 논쟁이 전개되었는데 그 이유는 맥클래인의 경우 직접적인 전면적 반전운동의 길을 찾았던 반면 위원회의 경우 힘들여 단결을 이루어냈던 현장 노동자들의 통일성을 상실할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었다. 맥클래인은 공동 통제를 조건으로 내세웠던 위원회의 요구가 위험스러운 것으로 봤다. 왜냐하면만약 클라이드의 노동자들이 군수공장의 부분적인 공동 통제에 참여하게 된다면 그들은 결국 전쟁에 대한 부분적인 책임을 받아들이는 것이 된다고 봤기 때문이다.

이 논쟁은 각 집단이 당시의 문제들에 상이하게 접근하였음을 드러내줬다. 위원회의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일차적인 역할을 현장 여론의 대변자로 봤기에 뮈르의 진술을 넘어 공공연하게 정치적인 입장을 취할 수 없었다. 맥클래인은 즉각적인 전술들을 어떠한 하나의 작업장 단위로부터가 아니라 국제 사회주의의 입장으로부터 도출하고자 했기 때문에 현장 지도자의 견해를 이해할 수 없다고 하며 다음과 같이 물었다.‘어떻게 이 시대 회의에 발언하러 와서 유럽을 휩쓸고 있는 전쟁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어떤 사람이 자신을 사회주의자라고 부를 수 있는가?’ 머지 않아 양측 사이의 균열이 드러났다.

1915년 말에 당시 군수장관이었던 로이드조지(Lloyd Gerorge)는 클라이드에 가능한 한 빨리 노동자 물타기 정책(dilution)을 실시할 것이라고 선포했다. 그는 비공식적으로 1915년 크리스마스에 3.000 여명의 현장위원이 모였던 회합에 참여하여 이들과 대면했다.‘적기(Red Flag)'의 커다란 노래 소리와 연단의 연사들 -- 연사인 로이드 조지와 아더 헨더슨은 노동당의 지도자이자 내각에 입각하여 자문을 함 -- 에 대한 야유로 인해 의사진행은 여러 번 중단되었다.

로이드 조지의 연설은 교활했다. 국유화를 사회주의와 동일시함으로써 그는 적대적이었던 청중들로부터 공감을 얻어내고자 했다.‘우리는 국가가 공장들을 소유하고 통제하는 위대한 국영 공장화를 시작했다. 공장들에 있는 모든 목재와 못들은 국가의 소유이다. 친구들이여 이것은 곧 위대한 사회주의적 공장화이다.’핸더슨이 노동자 물타기(dilution) 정책은 현재적 국면에서 가장 커다란 쟁점이라고 선언했을 때 일부의 사람들은! 이윤이지라고 외쳤다. 노동당 지도자들은 계속했다. -- ‘당신은 우리가 아마도 이 위대한 전쟁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모두 알고 있다’ -- 대답은집에나 있어라였다.

양자 대면 이후 로이드조지와 그의 동료 장관들은 다루기 힘든 군수산업 노동자들과 정면으로 맞서기로 결정했다. 항상 정중한 말투이지만 불길한 무엇인가를 전조하는 정부 비망록(memoranda)언젠가는클라이드에서 제거되어야 할 어떤 신사들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 대상은 맥클래인 같은 혁명적 활동가들뿐만 아니라 갤래셔, 커크우드 그리고 맥마너스 같은 현장조직 지도자들이었다. 캐쓰카트(Cathcart)의 경영자이자 군수장관의 대변자였던 윌리엄 웨어(William Weir)에 의해 일련의 계획(general line)이 수립되고 최종적인 공격은 시작되었다. 그의 대책은 지배계급이 다수의 노동자들과는 달리 정치와 경제 사이의 연관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었는가를 보여준다.

 

 

기본적인 사전준비 단계에서 해야 할 일은 국가와 사회 전체를 우리사업의 토대로 두는 것이다 …….

 

1. [노동자 물타기(dilution)정책이 선포되어] 파업이 발생했을 때는 즉각 다음과 같은 정책이 수행되어야 한다.

 

a)[군수] 법령을 근거로 소환장(summonses)의 즉각적인 발행.

b)저항을 제안하는 …… 모든 직장대표위원들에 대한 즉각적인 체포.

c)기술자연합협회(ASE)나 그 영향을 받고 있는 노동조합 중앙 집행부에 의한, 어떤 조건들에서도 파업은 지지될 수 없다는 내용의 즉각적 선포.

d)탐정을 통해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와 다른 몇몇 단체들 성원의 행동에 대해 주의 깊게 감시.

 

2. 파업이 지속되고 파업이 공감을 얻으며 다른 작업장으로 확대될 때.

 

a)[노동당과 노동조합들이 참여하고 있는] 국가 자문 위원회(National Advisory Commitee)에 의해 성명을 발표하여 파업의 분열을 야기하고 …… 충실한 노동조합주의자들이 어떠한 방해나 위협 행위에도 맞서 정부의 지원에 대한 충분한 확신을 가지고 작업장으로 돌아가도록 할 것.

b)노동조합 쟁의 법령(Trades Disputes Act)의 철회.

c)파업 지도자 체포.

d)어떠한 작업장도 완전히 폐쇄되어서는 안 됨. 사장들에게는 숙련노동자든, 비숙련노동자든, 여성노동자든 공장에 돌아와 일하도록 권유하라고 지시해야 함. 만약 작업장들이 폐쇄된다면 충실하여 착한 노동자들과 선동 노동자간의 분할을 만들어낼 기회는 주어지지 않을 것임.

e)경찰이 모든 공장들에 배치되어야 함.

f)폭동이나 재산에 대해 피해를 입히려는 첫 번째 시도가 있을 때 군법이 선포되어야 함.

 

 

이 계획서에는 서로 연계된 많은 요소들이 있다. 예컨대 정부, 사법부, 군대, 경찰, 감옥,‘여론’, 선전, 노동계 정치가들, 노동조합 관료들과 사용자들 등이 그것들이다. 웨어(Weir)는 이 모든 것들을 사용하여 설득과 강제, 국가의 억압과 개량주의적 사보타지의 미묘한 결합을 이루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의 전술들은 독일과 이탈리아의 자본가들이 각각의 나라에서 노동자 평의회 운동에 직면했을 때 대대적으로 모방되었다.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는 노동자 물타기(dilution) 계획안에 대해 모든 지역 공장 노동자들이 단일한 입장을 취할 것을 요청했다. 정부가 노동자 위원회의 권위를 의식하도록 모든 작업장들은 노동자 물타기 정책 행정관들(Dilution Commissioners)을 개인적으로 만나는 것을 거부하고 위원회 지도자들과 논의하도록 했다. 노동자 위원회가 수립한 계획의 취약점(아킬레스건)은 파크해드 공장(Parkhead Forge) 의장(convenor)이었던 데이비드 커크우드(David Kirkwood)에게서 나타났다. 커크우드는 노동자 물타기 정책에 대한 반대투쟁에 유약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주도적인 현장조직 대표자들과는 달리 커크우드는 전쟁에 전념해야 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독립노동당의 존 휘틀리(John Wheatley)와 함께 그는 자본가들의 임금지급총액(wages bill)이 하락되지 않는다면 노동자 물타기(dilution)정책을 용인할 수도 있다는 대안을 제출했다. 이 대안은 자본가들로 하여금 노동자 물타기를 통해 값싼 노동력을 활용하지 못하게 하였으나 반면 그것의 정치적 함의를 탈각시켜 버리는 것이었다.

커크우드는 노동자 물타기 정책(dilution)을 경제적인 쟁점으로 만들고자 했기 때문에 그 제안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 행정관들(commissioners)을 만났다. 클라이드 현장조직 대표자들은 현장노동자의 연대 없이는 노동자 물타기(dilution)에 대한 투쟁을전쟁 반대 투쟁으로 확산시킬 수 없었다. 현장 노동자들 사이에는 분열이 발생하고 있었고 그로 인해 공격받기 쉬운 상태로 되었다. 22일에 노동자 위원회의 신문인 The Worker는 출간이 금지되었다. 4일 후 맥클래인은 체포되었고 이어 갤래셔와 뮈르도 체포되었다. 주요 공장 노동자들은 이러한 공격(provocation)에 대해 현장조직 위원들의 석방을 요구하여 파업을 했다. 그러나 웨어(Weir)의 계획이 보여주듯이 이러한 투쟁은 종식되도록 유도되었다.

파크해드 공장에서의 투쟁사례는 정부의 함정이었다. 1916317일에 커크우드는 위원장으로서 공장현장을 돌아다닐 권리를 박탈당했고 이에 노동자들은 즉각적으로 공구들을 내려놓았다. 다른 공장들도 이에 동조하는 행동을 했다. 그러자 당국은 파크해드와 웨어의 수많은 주요 투사들을 체포하여 그들을 도시 밖으로 추방시켰다. 이는 명백히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를 분쇄하려는 시도였다. 불행히도 이에 대항한 동맹파업에는 19152월 파업 참가자들의 반 정도만이 참여했다. 확실히 노동자 물타기(dilution)에 대한 커크우드의 배신행위가 단결의 부재를 가져온 한 원인이기는 했지만 패배의 중요한 원인은 위원회가 이러한 투쟁을 글래스고우의 군수산업들 외부의 노동자들로 확산시키는데 실패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는 현장노동자들 사이에 정부에 대한 저항은 희망이 없다는 느낌을 심어주는데 공헌했음에 틀림없었다.

뒤에 이어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는 붕괴되었는데, 그 이유는 노동자 물타기(dilution)에 대한 대응전략을 군수산업 노동자들이나 그 외의 산업의 노동자들 또는 정부에게 좀 더 내용 있는 제안(proposition)으로 만들지 못한 위원회의 무능에 기인하였다. 노동자 국제주의에 충실하지 않았으며 현장조직 위원들의 공적 신념과 개인적 신념 사이에 분리가 일어남으로 인해 이러한 결과는 불가피하였다. 위원회가 다시 설립되려면 수년이 걸리게 될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래스고우의 전투적인 현장조직 위원들은 노동자 평의회 운동 형식을 발전시켰다. 하지만 비참하게도 그들은 평의회의 맹아적 단계를 넘어서게 할 수 있을 수단이 부재했다.

정부는 노동자 위원회를 고립시키고 파괴시킬 수 있었다. 왜냐하면 이에 대항한 노력들에도 불구하고 금속산업 수준에서의 투쟁을 전쟁에 맞서는 광범위한 운동으로 결합시킬 수 없었기 때문이다. J. T. 머피(J T Murphy)가 아래와 같이 쓴 말은 의심의 여지없이 맞는 말이다.

 

 

전쟁 기간 동안에 발생했던 어떠한 파업들도 반전 파업이 아니었다. 그 파업들은 종종 나처럼 전쟁을 멈추기를 원했던 사람들에 의해 지도되었지만 그것은 진짜 동기가 아니었다. 파업자들의 어떠한 회의에서도 전쟁을 멈추어야 한다는 문제제기가 나오면 그것은 압도적으로 폐기되었다.

 

 

그렇지만 존 맥클래인과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의 결합은 독특한 공헌을 했다. 공헌한 바는 현장 수준의 이슈를 반전 행동으로 확대하며, 금속산업의 현장조직을 전 계급적인 노동자 평의회로 확장시키려는 전술을 찾으려는 시도였다. 선진 노동자들의 투쟁을 전면화시킬 수 있는 전술 없이는 노동자 평의회의 성공은 있을 수 없는 것이었다.

비록 1916년에 정부는 승기를 잡았지만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는 두 가지 중요한 것들을 성취했다. 첫째, 비록 (전쟁 찬성이라는) 사회적 헤게모니의 폭풍 속이었지만 노동운동을 부활시킴으로써 그들은 비공식적 파업 지도력(leadership)를 통해 그리고 여러 공장들의 현장조직을 확고한 토대 위에 올려놓음으로서 노동자평의회를 만들기 시작했다. 한 공장의 현장조직으로부터 클라이드 지역 금속산업 전체 전체를 가로지르는 현장 노동자 운동으로 확대되었던 것이다.

그들의 두 번째 성과는 비록 일시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사회주의와 대중 운동 사이의 새로운 관계였다. 이때 존 맥클래인의 중요성은 과소평가 되어서는 안된다. 노동자 물타기 정책(dilution)에 대한 클라이드 노동자 위원회의 대응 전략은사소한 제안들로부터 시작되어 성장해갔다. 만약 그 제안들이 강력한 정치운동과 산업적 운동을 통해 지지받았다면 노동자 위원회는 한 산업부문의 방어적 현장조직으로부터 광범위한 토대를 가진 노동자 평의회로 변화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맥클래인을 포함한 소규모의 집단은 혁명적인 정당에 의해서만 성취될 수 있는 (광대한) 영향력을 지니지 못했고 반전 정서가 부재한 상황에서 현장조직 위원들은 애국적 정서를 지닌 현장노동자의 대표자라는 역할에 발목 잡혀 있었다.

글래스고우의 혁명적인 사회주의자들과 전투적인 현장노동자들 사이의 짧은 상호작용은 중요한 일보전진이었다. 현장 노동자 운동을 위한 전략을 만드는 과정에서 그들이 보여준 공동 투쟁은 결국 공장수준에서의 투쟁과 국가에 대항한 투쟁 사이의 분리를 극복할 방법을 찾게 해줬다. 오로지 이러한 노력들로부터 국지적 투쟁들을 일반화시키고 노동 계급의 자주적 활동(self-activity)을 통한 사회주의 달성의 잠재력을 지닌 운동이 성장할 수 있었다.

 

옮긴이 : 심용보